본문 바로가기

(구)게시물/교육계 뉴스

2014년 박근혜 대통령의 교육 정책 - 입시보다는 적성



2014년 대통령 신년사.





2014년 대한민국 교육계 신년교례회 대통령 연사.




최근 이 두 번의 행사로 박근혜 대통령의 2014년 교육 정책에 대한 부분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입시에만 과도하게 집중 된 현행 교육 정책에 문제를 들어


앞으로는 학생의 미래에 대한 부분을 더 강화하는 "교육혁명"이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네요.


뭐 간단히 말하면 창의, 인성, 적성에 중점을 둔 교육정책이 될 거라는 거죠.






구체적인 사안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거론 되었습니다.


'초중고 자유학기제, 청소년 진로직업교육, 대학성 창업교육, 경력단절 여성과 은퇴자 평생학습'


특히 인성과 지성의 조화, 창의력 육성과 미래적 인재 양성을 강조하는 면이 있었습니다.


뭐 어찌 보면 구체적인 내용은 적고, 일단 그럴 듯한 말을 좀 많이 한 것 같지만,


그래도 사안이 몇 가지 나왔다는게 중요하겠죠.





예상해볼 수 있는 정책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시범교육 중이던 초중고 자유학기제 확대 실시.


전년도부터 학생들이 진로적성을 찾는 자유학기제게 시행 되고 있습니다.


일부 학교에서 시범 운영 중인데, 박근혜 대통령이 보기에는 이게 나름 만족스러웠던 모양입니다.




그래서 그런지 자유학기제에 대한 언급을 좀 하며 확대를 논하고 있네요.


상황에 따라서는 올해부터 시범 운영 학교가 좀 늘어날지도 모르겠습니다.




2. 청소년 진로적성교육, 직업교육 내용 추가 편성.


교육은 미래를 대비하기 위한 것인데, 정작 앞으로 뭘 할지도 정하지 못 한 학생이 태반입니다.




그러니 청소년 진로적성교육과 직업교육을 시행하겠다는 의도를 살짝 내비쳤는데요.


음.... 솔직히 말하면 이건 학기 별로 1~2시간정도가


특별활동 시간이나 자율활동시간에 편성되는 수준일 거 같습니다.




3. 평생교육 강화




초중고 교육 이후 추가 교육이나 여가 시간 활용 교육 등이 늘어날 거 같습니다.


현재도 사이버대학 등이 확대 중인데,


이 외에 평생교육 시설의 증가나 교육 프로그램 신설을 기대해 볼 수 있겠네요.


현재 대학 구조조정 계획에도 부실 대학의 평생교육시설 전환 활용이 언급 되고 있으니


내부적으로 제법 구색을 갖춰가고 있는 정책일지도 모르겠네요.




이 외에 창업교육에 대한 부분도 있지만, 이건 교육보다는 창업 지원의 형태로 나타나게 될 거 같습니다.






이번에 암시 된 정책들은 이미 지난 정권들에게도 시도했었지만,


충분치 못한 정책 지원과 학부모의 몰이해 속에서 좌초된 정책들과 유사한 것들입니다.


사회적 이해를 구하고, 학교, 학생, 학부모의 인식 변화가 필요한 부분이죠.


과연 박근혜 대동령이 그것을 어떻게 해결할지 궁금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