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구)게시물/교육계 뉴스

2014학년도 서울대 입시 결과 관련 이슈



2014학년도 정시도 마감이 되면서 서울대 입시 결과에 관심이 몰리고 있습니다.


예로 부터 서울대 입시 결과는 해당 학년도의 학생 수준과 동향을 파악하는 자료로 활용 되어왔죠.


특히 고등학교들은 그 결과를 통해 학교 수준을 평가하는 지표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1. 서울대 합격자 배출 고교 현황, 특목고 강세


(출처 : 조선일보)



서울대 합격자 배출 고등학교 1위는 대원외고가 차지했고,


그 이하 상위 20개 고등학교는 모두 특목고와 자사고가 차지했습니다.


뭐 대원외고야 예전부터 최정상급이었으니 큰 감흥은 없습니다만.....


그보다 주목할 부분은 용인외고네요.


용인외고는 이번에 특목고에서 자사고로 전환한 이후 첫 입시였기 때문에 더욱 눈길을 끌었는데요.


2013학년도에 비해 두 배 이상의 서울대 합격자를 배출하면서 사람들을 놀라게 했습니다.





(출처 : 1차 - 베리타스알파, 2차 - 한국경제)



상위 10개 고교를 살펴보면 대체로 수시 합격자가 많고, 정시 합격자는 적은 편입니다.


기본적으로 수시지원에 적합한 학업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볼 수도 있겠네요.




(출처 : 1차 - 서울대, 2차 - 한국대학신문)



일단 전체 인원과 비율로만 따지면 일반고 학생이 더 많긴 하지만,


그런 단순 비교로는 따지기 어렵겠죠.


확실히 특목고와 자사고가 강세를 보인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무조건 특목고와 자사고가 유리하다고 보기는 어렵겠죠.


서울대는 지역균형선발을 통해 되도록 많은 학생들에게 기회를 주고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뭐... 이번에는 어떻게 될지 모르겠지만......)




2. 재수, 삼수생의 강세



(출처 : 1차 - 서울대, 2차 - 한국대학신문)



최상위권 대학은 언제나 재수생과 삼수생들이 강력한 힘을 발휘해 왔지만,


이번 2014학년도에는 특히 그런 면이 강했습니다.


정시모집에서 절반 이상이 재수, 삼수생이었네요.




3. 서울권 출신이 다소 강



(출처 : 1차 - 서울대, 2차 - 한국대학신문)



큰 차이는 아니지만 서울권 출신의 학생들이 더 많이 합격을 했습니다.


2012학년도와 2013학년도의 유동을 봤을 때 큰 변화라고 보기는 어렵지만,


하여간 그렇게 되었네요.


큰 의미가 있다고 보기는 어려운 차이지만, 이것을 가지고 지역 차별론을 꺼내드는 사람도 간혹 있더군요.




4. 자연계 유일의 만점자, 서울대 의예과 불합격




(출처 : 동아일보)



모두가 당연히 서울대 의예과 합격이라고 생각한 전봉열 학생.


안타깝게도 자연계 수능 유일의 만점자라는 타이틀에도 불구하고 불합격을 하고 말았습니다.


대신 수능 100%의 연세대 의예과에 합격했다고 하네요.


경우에 따라 수능 외적인 학생부와 면접이 얼마나 큰 영향을 주는지 보여주는 예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