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가 2017학년도 수능에서 필수과목으로 지정 된 것은 다들 알고 계실 겁니다.
그동안 교육부에서는 필수 과목으로 지정 되지만 절대평가에
다소 쉬운 경향으로 문제가 나갈 것이라 언급했습니다.
한국인으로써 가져야할 기본적인 역사 소양을 묻겠다는 것이었죠.
하지만 구체적인 문항 등에 대해서는 자세한 언급을 미뤄웠는데요.
이번에 그 문제 유형과 예시 문항이 공개 되었습니다.
우선 한국사 시험에 나오게 될 10가지 문제유형입니다.
1. 기본적인 역사적 사실 알기 2. 역사에서 중요한 용어나 개념 이해하기 3. 역사적 사건의 흐름 파악하기 4. 역사적 상황 인식하기 5. 역사적 시대 상황 비교하기 6. 역사 탐구에 적합한 방법을 찾아 탐구 활동 수행하기 7. 역사 자료에 담긴 핵심 내용 분석하기 8. 자료 분석을 통해 역사적 사실 추론하기 9. 역사 자료를 토대로 개연성 있는 상황 상상하기 10. 역사 속에 나타난 주장이나 행위의 적절성 판단하기 |
흠.... 예상과는 암기형식에서 벗어나는 부분이 꽤 있네요.
물론 실제로는 추론이라고 해도 그 추론에 대한 정석 답안이 준비 되어 있다면
그것은 이미 암기 유형이지만요.
그럼 실제 예시 문항을 보겠습니다.
음.. 딱보기에도 암기 유형으로 보이는 유형1과 2의 예시 문항입니다.
역사적 사실에 대한 암기가 필요한 부분이죠.
추론이나 분석 문제는 어떤지 볼까요.
와 세상에 이건....
분명 이런 유형 역시 암기로 때우는게 가능하기는 하겠지만,
그러자면 굉장히 디테일한 암기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이것은 기본적인 사실 외에도 관련 내용을 종합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한 것 같네요.
뭐... 그래봐야 결국은 한국 교육 정서상 암기로 때우겠지만....
일단 그렇게 크게 어려운 문제는 없는 것 같습니다.
물론 예시문항일 뿐이고 이후 어떻게 난이도가 조정 될지는 모르는 일이지만요.
사교육에 대한 부정적 여론이 꽤 있던데,
이정도 수준이라면 학교 공부에 충실하고 관련 문제 풀이만 해도 충분할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사 문제유형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첨부파일을 확인해주세요.
문항유형으로 알아보는 2017학년도 수능 한국사 학습안내.pdf
'(구)게시물 > 교육계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입전형을 변경할 수 있는 5가지 사유 규정 (0) | 2014.04.22 |
---|---|
전국 학교에서 수학여행 등 현장체험학습 안전 특별점검 실시 계획 (0) | 2014.04.17 |
교육부,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선행학습 요구 문제 전면 금지 및 입법 예고 (0) | 2014.04.09 |
어학특기자 전형 폐지 취소 소송 - 무분별한 전형 축소의 폐해 (0) | 2014.04.07 |
수시지원에 관한 수험생 설문조사 결과 (0) | 2014.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