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내 11개 자치구가 혁신교육지구 사업에 참여합니다.
해당 지역은 2개 유형으로 나뉘며
강북구·관악구·구로구·금천구·노원구·도봉구·은평구 등 7개 자치구는 '혁신지구형'으로,
강동구·동작구·서대문구·종로구 등 4개 자치구는 '우선지구형'으로 지정 됐습니다.
각각의 사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혁신지구형 |
학급당 학생 수 25명 이하 감축 사업(중학교), 학교·마을 연계 방과후 사업, 일반고 진로·직업교육 지원 사업, 민관 거버넌스(지역 교육공동체) 구축 사업 등 4개의 필수사업과 자치구별 특화사업 |
우선지구형 |
민관 거버넌스(지역 교육공동체) 구축 사업, 학생의 자기주도적 프로젝트 지원 사업 등 2개의 필수사업과 자치구 특화사업 |
혁신교육사업은 2015~2016년 2년간 운영될 예정이며,
구체적인 사업 운영 일정은 아직 나오지 않았습니다.
아무래도 지구별로 탄력적 운영을 할 것으로 보이며,
대체로 자율학습과 진로탐색 등이 주내용이 되지 않을까 예상됩니다.
'(구)게시물 > 교육계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송통신중학교 6개교 신설, 중학교 학력 취득기회 확대 (0) | 2015.01.28 |
---|---|
2015년 교육부 업무계획 "모두가 함께하는 행복교육, 창의인재 양성" (0) | 2015.01.27 |
대구교육청 선정 초중고 인문고전 추천도서 359선 (0) | 2015.01.26 |
2015 교육부 연두 업무보고로 보는 교육 흐름 (0) | 2015.01.22 |
고등학교 1학년 교과목별 성적 A등급 상위 10개교 (0) | 2015.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