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구)게시물/교육계 뉴스

2017-2018 교육과정 개정(안) - 문이과 통합과정 포함



2017-2018 교육과정 개정(안)이 나왔습니다.


해당 교육과정은 이미 예고 되었던 문이과 통합교육과정을 포함한 것으로


고등학교 과정만이 아닌 초중고 모두를 포함한 것입니다.



1. 이 교육과정은 학교 급별, 학년별로 다음과 같이 시행합니다.

 가. 2017년 3월 1일 : 초등학교 1, 2학년

 나. 2018년 3월 1일 : 초등학교 3, 4학년,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1학년

 다. 2019년 3월 1일 : 초등학교 5, 6학년, 중학교 2학년, 고등학교 2학년

 라. 2020년 3월 1일 :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3학년


2. 중학교 자유학기 편성・운영 관련 규정은 2016년 3월 1일부터 적용합니다.



1. 초등학교 교과과정 기준



① 이 표에서 1시간 수업은 40분을 원칙으로 하되, 기후 및 계절, 학생의 발달 정도, 학습 내용의 성격,학교 실정 등을 고려하여 탄력적으로 편성・운영할 수 있다.

② 학년군 및 교과(군)별 시간 배당은 연간 34주를 기준으로 한 2년간의 기준 수업 시수를 나타낸 것이다.

③ 학년군별 총 수업시간 수는 최소 수업 시수를 나타낸 것이다.

④ 실과의 수업 시간은 5~6학년 과학/실과의 수업 시수에만 포함된 것이다.




2. 중학교 교과과정 기준



① 이 표에서 1시간 수업은 45분을 원칙으로 하되, 기후 및 계절, 학생의 발달 정도, 학습 내용의 성격, 학교실정 등을 고려하여 탄력적으로 편성・운영할 수 있다.

② 학년군 및 교과(군)별 시간 배당은 연간 34주를 기준으로 한 3년간의 기준 수업 시수를 나타낸 것이다.

③ 총 수업시간 수는 3년간의 최소 수업 시수를 나타낸 것이다.

④ 정보 과목은 34시간을 기준으로 편성・운영한다.




3. 일반고등학교 교과과정 기준



① 1단위는 50분을 기준으로 하여 17회를 이수하는 수업량이다.

② 1시간의 수업은 50분을 원칙으로 하되, 기후 및 계절, 학생의 발달 정도, 학습 내용의 성격, 학교 실정 등을 고려하여 탄력

적으로 편성・운영할 수 있다.

③ 공통 과목은 2단위 범위 내에서 증감하여 편성・운영할 수 있다. 단, 한국사는 6단위 이상 이수하되 2개 학기 이상 편성하도록 한다.

④ 과학탐구실험은 이수 단위 증감 없이 편성・운영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과학계열, 체육계열, 예술계열 고등학교의 경우 학교 실정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⑤ 필수이수단위의 단위 수는 해당 교과(군)의 ‘최소 이수 단위’를 의미하며, ( )안의 숫자는 특수 목적 고등학교가 이수할 것을 권장한다.

⑥ 창의적 체험활동의 단위는 최소 이수 단위이며 ( )안의 숫자는 이수 단위를 이수 시간 수로 환산한 것이다.

⑦ 총 이수 단위 수는 고등학교 3년간 이수해야 할 ‘최소 이수 단위’를 의미한다.

⑧ 기초 교과 영역 이수단위 총합은 교과 총 이수단위의 50%를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단, 자율형 사립 고등학교의 경우에는 이 규정을 권장한다.




4. 특성화 고등학교 교과과정 기준



① 1단위는 50분을 기준으로 하여 17회를 이수하는 수업량이다.

② 1시간의 수업은 50분을 원칙으로 하되, 기후 및 계절, 학생의 발달 정도, 학습 내용의 성격 등과 학교 실정을 고려하여 탄력적으로 편성・운영할 수 있다.

③ 공통 과목은 2단위 범위 내에서 증감하여 편성・운영할 수 있다. 단, 한국사는 6단위 이상 이수하되 2개 학기 이상 편성하도록 한다.

④ 필수이수단위의 단위 수는 해당 교과(군)의 ‘최소 이수 단위’를 의미한다.

⑤ 창의적 체험활동의 단위는 최소 이수 단위이며 ( )안의 숫자는 이수 단위를 이수 시간 수로 환산한 것이다.

⑥ 총 이수 단위 수는 고등학교 3년간 이수해야 할 ‘최소 이수 단위’를 의미한다.




5. 고등학교 전문교과 I



① 전문 교과Ⅰ과목의 이수 단위는 시・도 교육감이 정한다.

② 국제계열 고등학교에서 이수하는 외국어 과목은 외국어계열 과목에서 선택하여 이수한다.




6. 고등학교 전문교과 II






① 전문 교과Ⅱ 과목의 이수 단위는 시・도 교육감이 정한다.

② 전문 공통 과목, 기초 과목, 실무 과목은 모든 교과(군)에서 선택할 수 있다.




문이과 통합과정은 초중고 동시 진행의 교육과정이며 국어를 중심으로 수학, 영어, 과학, 사회를 통합교육 하는 방식입니다.


앞으로는 국어가 전체 교육과정의 중심이 될 것으로 보이고,


기본과정에 추가 되는 전문교과 과정을 통해 학생들의 특성을 극대화 한다는 방침으로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이런 전문교과 과정은 시도교육청이나 학교의 재량에 따라 변경 될 수 있기 때문에


실질적 적용에 대해서는 지켜봐야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