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구)게시물/크랩 칼럼

재조명 되고 있는 수능 탐구영역, 과연 학생에게는 얼마나 부담인가?




2015학년도 대입에서 탐구영역이 재조명 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탐구영역은 국영수의 주요 과목 외의 2군급 과목으로 취급 되는 경향이 있었죠.


그런데 이번 대입에서 수능 최저학력기준이 변경 되면서 사정이 변했습니다.


상위권 주요 대학들이 전반적으로 최저학력기준 반영 과목을 확대했기 때문이죠.


2과목을 반영하던 곳이 3과목으로, 3과목 반영하던 곳이 4과목으로,


이런 식으로 수능 반영 과목을 확대하게 되니 자연스럽게 탐구 과목이 주요 반영 요소가 되어 버렸습니다.






이런 점을 유명 학원과 언론이 부각 시키니


지금까지 2군이라고 생각했던 과목이 갑자기 엄청 대단해진 느낌입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학생들에게 부담이 오히려 증가한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도 있는데요.


개인적인 판단으로는 논술을 제외하면 딱히 그런 것은 아니라고 봅니다.






단순하게 봅시다.


탐구영역이 새로운 중요 요소가 되었다고 하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수시에서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는 전형에 해당하는 이야기 입니다.


정시라거나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지 않는 전형은 해당사항이 없죠.


또한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는 수시 전형 중에서도 상황이 갈립니다.


이번 대입에서는 교외 비교과 활동 사항에 대한 내용이 매우 크게 제한 되기 때문에


학생들은 그만큼 교과목에 시간을 더 투자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탐구 과목을 추가로 소화할 여유가 생겼다는 것이죠.





문제가 있다면 논술 전형이죠.


논술 전형은 원래 비교과 활동에 대한 내용이 없었기 때문에


확실히 전형요소가 확대 된 케이스입니다.


이 경우에는 명백히 논술은 전년도에 비해 학생 부담이 증가했다고 말 할 수도 있을 겁니다.




하지만 다른 관점에서 보자면.....


기본적으로 논술은 탐구영역에 기반을 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논술을 준비하는 학생이면 탐구도 어느 정도 하는게 정상이 아닌가 합니다.





논술을 준비하던 학생들에게 수능 부담이 높아진 것은 맞겠지만,


그 대상은 탐구 과목이 아니라 그 외 주요 과목이라는 말이죠.




또한 그에 앞서 논술은 모집 인원 자체가 전년도에 비해 축소 된 상황입니다.


서울권 주요 대학을 기준으로 봤을 때 대략 15% 가량의 모집 인원이 감소 했다고 하네요.


모집 인원이 감소 했다는 것은 그만큼 커트라인이 높아진다는 뜻이고,


이에 따라 합격자들의 평균 성적 자체가 상승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쯤 되는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수능 성적이 높게 나오고, 최저학력기준이 강화 되더라도 타격이 적은 편이죠.


(어차피 논술의 정시화도 꽤 진행 된 상황이고.....)






한 마디로 말해 이제 논술은 자신있게 해볼 사람만 바싹 준비하고,


그런 게 아닌 사람들은 다른 전형을 준비해야 하는 방식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사실 예전부터 이런 방식으로 해야 했지만 그걸 받아들이지 않으려고 하는 경우가 많았죠.)


학생들이 여러가지 전형을 신경 쓸 수가 없게 만들었다는 점을 두고 보면 나름 순기능이.....




하여간 정리하자면,


수능 최저학력기준이 강화 된 듯 보이지만 이 때문에 큰 영향을 받는 것은 논술 전형 정도이며,


이와 함께 논술 모집 인원도 축소 되었으니 이제 논술은 정말 자신 있는 학생들만 지원해야 합니다.


이정도려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