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원의 확정 보도 이후에도 끊임없이 논란이 된 수능 문항오류 논란.
결국은 학생들이 집단소송을 하는 사태까지 오게 되었습니다.
사태를 이렇게까지 키운 것에는 논란의 여지가 있는 문제를 출제한 것도 있지만,
이후 대처도 안 좋았다는 생각이 드네요.
<참고 기사>
출처 : 연합뉴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3/11/29/0200000000AKR20131129097100004.HTML?from=search
그럼 일단 문제가 되는 세계지리 8번 문항이 뭔지부터 다시 확인 합시다.
국가간 경제 협력체의 관계에 대한 질문입니다.
제시된 지문의 A인 유럽연합(EU)과 B인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에 대한 내용이죠.
평가원이 제시한 정답은 2번입니다.
ㄱ과 ㄷ이 맞는 설명이라는 것입니다.
여기서 문제가 된 것은 ㄷ의 내용으로,
"유럽연합(EU)이 북미자유무역협접(NAFTA) 보다 총생산액 규모가 크다."
라는 설명이 잘못 되었다는 논란입니다.
기본적인 교과서 내용과 EBS 등의 교재 내용에 따르면 위 설명은 맞는 것입니다.
그런데 실제 일부 2012년 통계에서 NAFTA의 총생산액이 더 많다는 결과가 나온 것이죠.
여기에 대해 평가원은 교과서 내용에 따른 정답이기 때문에 문제 될게 없다고 답했고,
학생들은 현실을 고려했을 때 이는 명백한 오류라고 항의하는 중입니다.
이것은 분명 평가원이 대처를 잘못 한거죠.
그런 식으로 말하면 들어먹을 것도 못 들어먹겠네요.
문제 출제 과정에서 실수가 분명 있었습니다.
위 문항에서 보면 지도 구석에 "(2012)" 라고 표기가 되어 있는데,
이것은 '2012년 기준'을 말하는 것이 아닌 '2012년 발표 기준'을 말하는 것입니다.
2012년 발표 기준이라는 것은 통계 지표가 2012년 이전,
즉 2011년까지를 뜻하는 것입니다.
만약 평가원이 "(2012년 발표 기준)" 이라고 표기 했다면 이런 논란은 없었겠죠.
하지만 문제출제 과정에서 '(2012)' 이라고 표기를 한 채 문제가 출제 되었고,
이것이 중의적 해석으로 인해 오해를 불러 일으킨 것입니다.
혹은 논란의 여지를 준 것이라고 할 수도 있겠지요.
논란이 처음 불거졌을 때도 이런 설명을 했다면 집단 소송까지 가지는 않았을 겁니다.
'XXXX년 발표 기준'을 'XXXX'로 생략하여 표기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많이 쓰는 표현이니까요.
그런데 거기에 대고 "교과서에 그렇게 나와 있는데 뭔 문제냐"는 식으로 해명을 했으니....
지금까지의 사례를 보나 현재 논란의 내용으로 보나
결국은 소송에서 평가원이 이길 것으로 보이긴 합니다만,
좀 찜찜하긴 하네요.
왜 쓸데 없이 문제를 키우는지 ㅋ
'(구)게시물 > 교육계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7학년도 수능 절대평가? 한국교육개발원 "수능, 절대평가로 바꿔야" 주장 (0) | 2013.12.03 |
---|---|
2014년부터 고교 교육 과정에 논술 추가 (0) | 2013.12.01 |
2014학년도 수능 등급컷 (평가원 발표, 11/26) (0) | 2013.11.26 |
2014학년도 수능, 문제와 정답, 현장까지 오류는 없었다 (0) | 2013.11.18 |
서울대에 이어 연세대, 고려대도 정시 모집군 변경 (0) | 2013.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