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구)게시물/교육계 뉴스

2014년부터 고교 교육 과정에 논술 추가


매년 말이 많은 논술.


가장 많은 불만은 논술을 고교 과정에서 준비 할 수 없다는 의견이었습니다.


개인적으로 왜 못 한다는 건지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만.....


어쨌든 이런 여론이 점차 증가 하는 가운데,


내년인 2014년부터 논술이 고교 교육 과정에 포함 됩니다.





지금까지는 고등학교에서 방과 후 수업 형태로 교육을 편성하거나


논술준비생을 모아 자습 형태로 교육을 하고 있었습니다.


그랬던 것이 이제는 정규 수업시간으로 편성 되게 된 것이죠.


물론 무조건 편성 되는 것은 아닙니다.


학교측의 자율성이 어느 정도 있는 만큼 그 시수는 학교마다 다르겠죠.


학교에 따라서는 없을 수도 있다는 겁니다.






그런데 이게 좀... 웃기는 부분이 있습니다.


교육부에서는 논술 대비를 위해 고교 교육과정에 이걸 포함 시켰다고 하는데,


한편으로는 논술을 지속적으로 축소 시키고 있는 상황입니다.


논술 축소 방향으로 정책을 잔뜩 잡아놓고, 이제 와서 논술 준비 교육을 편성한거죠.





종합하면 이런 얘기가 되겠습니다.


현행 논술에 대해서는 지적 사항이 많고, 이에 따라 교육부도 논술 개편을 시작했습니다.


과도한 논술 모집은 축소 시키고, 논술 대비를 활성화 시키는 방향이네요.


하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일부 축소'로 보이며,


일부 시민단체가 요구하는 "논술 전면 폐지"는 없을 것으로 판단 됩니다.


또한 고교 교과 과정에 편성 되었기 때문에


이후 대학의 논술 출제는 교육부에서 개입할 수 있는 여지가 생겼습니다.


현재까지는 대학측의 영향이 압도적이었다면 이제 교육부에서도 한 소리 할 수 있다는 거죠.






어느 정도 논란이 일단락 되는 것 같기도 하지만 여전히 문제는 남습니다.


일단 논술을 편성한다고 해도 그것을 가르칠 교사가 당장 있는 것이 아닙니다.


인문계는 국어, 사회 교사가, 자연계는 수학, 과학 교사가 기출 문제나 논술 문제집으로 진행할 확률이 높죠.


딱히 논술 교과서가 있거나 한 것도 아니니......





일부 학교에서는 교사 역량 문제가 제기 될 수도 있고,


사교육 신봉자들은 여전히 학원을 찾을 것입니다.


또한 일각에서는 "쓸데 없이 논술에 중요 교과목 시수가 낭비 된다." 라는 의견도 있겠죠.


개인적으로 논술 수업은 교과목의 전반적인 이해도를 높여주기 때문에 좋다고 생각하지만,


분명 그런 악평도 나올 것입니다.


모두의 의견에 맞출 수는 없고, 이것을 부당하다고 느끼는 사람들은 반드시 존재하겠죠.





학생들에게 당부하고 싶은 것은,


논술 수업이 정규 과정으로 편성 된다고 해서


그게 학생에게 전반적 악영향을 끼치지는 않을 거라는 점입니다.


앞서 말했지만 논술을 한다는 것은 교과목에 대한 전반적 이해를 도와줍니다.


물론 표면적으로는 신경 쓸게 늘어난 것으로도 보이겠지만,


결과적으로는 교과목의 연장선장이라고 보면 다소 마음이 편해질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