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는 각종 기준에 따른 대학 평가가 있는데요.
이번에 나온 대학순위는 언론사인 [전자신문]의 연구소에서 나온 것입니다.
학생지원이나 창업지원, 지식재산 증가를 위한 노력도를 기준으로 한 평가이며,
학생 교육 수준과는 조금 다른 측면에서 다룬 평가 입니다.
이것을 토대로 그 대학의 모든 수준을 나타날 수는 없으나
참고는 삼으실 수 있을 겁니다.
각 평가의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영역 |
분야 |
개념 |
주요지표 |
IP 문화 |
교육여건 |
지식재산
관련 교육 및 연구 |
지식재산
관련 학과/교과목, 산단 |
제도 |
지식재산
관련 |
지식재산
지원 예산, 지식재산 관련 |
|
프런티어십 |
발명,
창업에 대한 학생 참여 |
발명(창업)동아리,
동아리 지원, |
|
IP 역량 |
창조성 |
국내 지식재산 양적 평가 |
국내 특허 출원/등록, 특허 유지율 등 |
선도성 |
국내 지식재산 질적 평가 |
피인용
특허 건수, 심사관 인용 |
|
혁신성 |
지식재산 보호역량 평가 |
발명평가
시스템 구축 및 활용도, |
|
글로벌경쟁력 |
확장성 |
해외 지식재산 평가 |
해외
특허 출원/등록, PCT 출원, |
글로벌기반 |
글로벌 지원 역량 평가 |
해외
연수프로그램, MOU 체결, 해외 |
|
산업기여도 |
일자리창출 |
일자리 창출 역량 평각 |
지주회사
자회사/직원, 학생 |
부가가치창출 |
산업계 파급효과 평가 |
기술이전,
기술료, 실시권 설정, |
요는 특허와 창업에 관한 것이죠.
벤처 산업 육성이라고 봐도 좋을 겁니다.
이공계쪽에 치우친 평가...죠.
좀 아쉬움이 있네요.
그리고 그렇게 해서 나온 종합평가는 다음과 같습니다.
순위 |
대학 |
점수 |
1 |
한양대 |
678 |
2 |
고려대 |
618 |
3 |
포스텍(POSTECH) |
590 |
4 |
성균관대 |
578 |
5 |
광주과학기술원(GIST) |
540 |
6 |
연세대 |
519 |
7 |
카이스트(KAIST) |
498 |
8 |
서강대 |
490 |
9 |
서울대 |
480 |
10 |
경희대 |
477 |
11 |
의화여대 |
468 |
12 |
강원대 |
459 |
13 |
서울시립대 |
424 |
14 |
서종대 |
415 |
15 |
영남대 |
411 |
16 |
광운대 |
385 |
17 |
차의과학대 |
370 |
18 |
동아대 |
361 |
19 |
한국기술교육대 |
339 |
20 |
호서대 |
327 |
왜 순위가 이따위야!
라고 하는 분들도 있을 거 같기는 한데 말이죠.
하여간 이게 평가 결과 입니다.
특허와 학생 창업에 신경을 많이 쓴 이공계 대학 순위라고 봐도 좋으려나요?
뭐 하여간 그렇습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첨부 파일과
http://report.etnews.com 의 내용을 확인해주세요.
'(구)게시물 > 교육계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목고생만을 위한 전형은 정말 부당한가 (0) | 2013.10.05 |
---|---|
교육부, "학생 임신과 이성교제는 더 이상 학칙으로 징계할 수 없다" (0) | 2013.10.01 |
세수 문제에 막힌 누리과정 (0) | 2013.09.30 |
자사고 학생선발권을 사이에 둔 충돌과 그 배경 (0) | 2013.09.26 |
특목고는 무조건 뽑으라 강요하는 대학? (0) | 2013.09.23 |